통합검색
인권경영 게시판 (총 4건)
더보기ESG 추진실적 (총 13건)
더보기
KIND는 2022년 5월 23일 ‘제1회 ESG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KIND ESG위원회의 공식적인 출범과 함께 본격적인 ESG경영에 나섰다.
위원회는 KIND 비상임이사로 구성되었으며, 조인성 이사가 위원장을 맡는다. ESG위원회는 비상임이사의 경영 참여를 확대하고 민간전문가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등 KIND의 ESG경영 추진계획 수립 및 환경, 사회, 거버넌스 관련 주요 이슈 등에 대한 ESG경영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1회 ESG위원회에서는 KIND ESG 경영 추진계획을 원안 의결하였으며, 동 계획에 따라 각 부서별 세부과제를 실천해 나갈 계획이다.
조인성 ESG 위원장은 “사업성과 ESG 간 균형을 위해 KIND에서 노력해 주길 바란다”며 제1회 ESG 위원회 회의를 마쳤다.
2025. 01. 20
KIND는 2022년 6월 22일 공사 임직원의 ESG 역량 강화를 위해 외부 전문가를 초청하여 ESG 교육을 실시했다.
외부 전문가로 초청된 지속가능경영연구소 김민석 소장은 ‘ESG 이해와 공공기관 ESG 추진가이드’ 를 주제로 공공기관으로서 ESG 경영 필요성을 상기시키고 KIND ESG 추진계획 실행력 강화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이번 교육은 임직원의 ESG 경영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공사는 향후에도 주기적으로 ESG 교육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2025. 01. 24
KIND는 2022년 12월 22일 연간 ESG 경영 성과 점검을 위한 ‘제2회 ESG 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는 KIND 비상임이사 외에 지난 11월 이사회에서 ESG 전문위원으로 신규 위촉된 서스틴베스트 류영재 대표가 함께 자리했다.
제2회 위원회에서는 제1회 위원회에서 의결한 ‘KIND ESG 경영 추진계획’에 대한 세부과제 별 성과 점검과 내년도 ESG 경영 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류영재 전문위원은 ESG 도입 초기인 만큼 중점 관리 요소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체계화를 강조했고, 조인성 위원장은 ESG 경영 2년차인 2023년에는 한층 고도화된 운영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5. 01. 24
공지사항 (총 169건)
더보기
아래와 같이 아세안 연계성 포럼 (ASEAN Connectivity Forum)이 개최 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신청방법: http://acf.aseankorea.org 홈페이지 접속하여 신청
● 접수마감: ( 포럼 ) 11.27(월) / (1:1 비즈니스 면담 ) 11.28(화)
2018. 11. 16
국토교통부 공고 제 2018 - 1606호
「2019년도 제1차 해외인프라·도시개발사업 타당성조사 대상사업」 모집 공고
해외인프라개발사업 발굴 및 관리에 관한 지침(국토교통부훈령 제700호)제6조에 의거 2019년도 제1차 해외인프라개발사업 타당성조사 대상사업 모집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18년 12월 4일
국토교통부장관
2019년도 제1차 해외인프라·도시개발사업 발굴을 위한 사업타당성조사 지원 대상사업 모집
1. 사업목적
ㅇ 해외인프라·도시개발 사업 진출 등을 위한 사업타당성조사 지원
2. 신청자격
ㅇ 해외건설촉진법령상에 따른 해외건설업자*
1.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건설업의 등록을 한 자
2. 「전기공사업법」에 따라 공사업(工事業)의 등록을 한 자
3.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따라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을 한 자
4.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에 따라 엔지니어링사업자로 신고한 자
5. 「건축사법」에 따라 건축사사무소개설신고를 한 자
6. 「기술사법」에 따라 건설 분야의 기술사사무소 등록을 한 자
7.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에 따라 환경전문공사업의 등록을 한 자
8. 해외공사의 수주(공사의 시공은 제외한다)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해외건설업자가 공동으로 출자하여 설립한 법인
9.「대외무역법 시행령」제21조제1항에 따라 무역거래자별 고유번호를 받은 자
10. 해외공사의 개발(공사의 시공은 제외한다)사업을 하기 위하여 해외건설업자가 공동으로 출자하여 설립한 법인
11.「건설기술 진흥법」 제26조에 따라 등록한 건설기술용역업자
12.「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제44조에 따라 등록한 측량업자 또는 같은 법 제54조에 따라 등록한 수로사업자
13.「주택법」 제4조에 따라 등록한 주택건설사업자 또는 대지조성사업자
* 해외건설촉진법 제2조, 제6조 및 시행령 제8조에 따라 해외건설업을 신고하고, 해외건설업을 영위하는 개인 또는 법인
3. 신청 대상 사업
ㅇ 해외건설업자가 사업주이면서 개발․건설․운영관리에 참여하는『해외건설 촉진법』제2조 해외인프라·도시개발사업
- 사업의 추진 정도에 따라 예비 타당성과 본 타당성으로 구분하여 신청
4. 지원규모 : 사업규모 및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지원금액 추후 확정
* 건당 지원 금액 : 최대 7억원
5. 추진일정
ㅇ 사업모집 : ‘18. 12. 4(화) ~ 12.18(화)
6. 심사 기준
『해외인프라개발사업 발굴 및 관리에 관한 지침*』(국토교통부장관 훈령 제700호) 참조
* www.molit.go.kr (정보마당- 법령정보- 훈령․예규․고시)
7. 서류접수
ㅇ 제출서류
-『해외인프라개발사업 발굴 및 관리에 관한 지침』(국토교통부훈령 제700호) 제6조(타당성조사지원사업 신청)의 각 호의 서류
* 타당성조사 요청내역서(지침 별지 7호) 제출 필요
ㅇ 접수처 : 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사업총괄실
ㅇ 접수방법 : 우편 및 방문접수 모두 가능
* 단, 우편접수의 경우 접수기간 내에 도착한 서류만 인정함
8. 선정된 사업에 대한 지원
ㅇ 해외인프라개발 사업 진출 등을 위한 사업타당성 조사 지원 및 타당성조사 비용투자 및 건설 수주 외교활동 등 지원
9. 유의사항
ㅇ 타당성조사지원 사업 신청기업은 예비타당성조사 또는 본타당성조사 중 선택하여 지원해야 하며,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공동진출 사업인 경우 가점부여
ㅇ 신청기업은 사업타당성조사와 관련한 자료를 제공해야 하며, 타당성조사 이후 글로벌인프라펀드(GIF) 등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해외건설특화펀드 등에서 투자하기로 결정할 경우 이를 허용하여야 함
ㅇ 신청기업은 타당성조사 완료 후 1년 이내 추가적인 사업추진이 없거나 신청회사의 사정으로 더 이상 사업추진이 어려운 경우 타당성조사 용역 결과가 공개될 수 있음에 동의해야 함
ㅇ 신청기업은 대상사업 선정여부와 관계없이 제출한 서류에 대하여 일체 반환을 요청할 수 없으며, 우리부의 서류보완 요청에 대해 관련서류의 미보완 또는 미제출하는 경우 신청포기로 간주
ㅇ 대상사업 선정 및 선정된 사업의 타당성조사를 수행하기 위한 용역기관 선정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신청기업은 우리부에서 지정한 기일에 참석하여 신청사업에 대하여 설명하여야 함
ㅇ 사업이 선정된 경우, 신청기업은 해당사업의 개발완료 또는 포기 시까지 사업의 현행정보를 정기적(월 1회 이상)으로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양식에 따라 제공하여야 함
ㅇ 세부적인 심사기준 및 제출서류의 소정 양식 등은 『해외인프라개발사업 발굴 및 관리에 관한 지침』 참고
[첨부] 『해외인프라개발사업 발굴 및 관리에 관한 지침(국토교통부훈령 제700호)』
2018. 12. 03
KIND 기관 일반현황 자료 입니다.
2019. 03. 27
KIND 소식 (총 215건)
더보기지난 6월 27일,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KIND의 설립 기념행사가 있었습니다.
국토교통부 장관님을 비롯한 많은 귀빈 여러분께서 이 자리에 참석해 주셨습니다.
개소식 후에는 "해외 PPP 시장의 현주소와 국내기업의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세미나가 진행되었습니다.
KIND’s foundation ceremony was held in Conrad Hotel in Seoul on the 27th June, 2018.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other distinguished guests attended the ceremony.
It was followed by a seminar on “Global PPP market trend and Korean companies’ strategies against the trend”.
2018. 07. 12
지난 6월 29일 KIND와 CAF (Corporación Andina de Fomento, 중남미 개발은행) 간 양해각서(MOU) 체결식이 있었습니다.
이날 행사는 허경구 KIND 사장과 루이스 까란사 우가르떼 CAF 총재가 서명하였으며, 김현미 국토부장관, 외교부 중남미 국장, 국토부 건설정책국장이 참석하였습니다.
양사는 MOU를 통해 KIND와 CAF 간 정보 교류 및 인프라 사업 기회 공동 발굴 등의 협력을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A signing ceremony for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between KIND and CAF (Corporación Andina de Fomento) was held on the 29th of June, 2018
.
The MOU was signed by KIND president & CEO, Dr. Kyong-goo Hur and the executive president & CEO of CAF, Dr. Luis Carranza Ugarte. The ceremony attendees includ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eputy director-general of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Affairs Bureau, MOFA* and deputy director-general of Construction Policy Bureau, MOLIT**.
Both companies agreed to share infrastructure related information and cooperate for identification of infrastructure project development opportunities, moving forward.
* MOFA : Ministry of Foreign Affairs
** MOLIT :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07. 12
지난 7월 12일 KIND 사장 이하 임직원들이 모두 참석하여 "열린 조직문화 창조를 위한 KIND 직원 워크샵"을 행사를 가졌습니다.
워크샵은 사장님 인사말, 명사 동영상 시청 (Start with Why), 쿠퍼실리테이그룹 구기욱 대표님의 강의, 각 실별 다짐 등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새롭게 출범하는 조직으로서 향후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 어떤 조직문화를 만들어 나갈지 함께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KIND had an internal workshop for making an open work culture within the company.
The workshop program consisted of listening to CEO's messages, watching a TED video clip “Start with Why”, a lecture given by Mr. Koo from Koo Facilitation Group and sharing each department's resolutions.
It was a meaningful opportunity for every employee to think about how KIND's own right work culture should be sculpted as it would help achieve high performance results.
2018. 07. 12
보도자료 (총 41건)
더보기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폴란드 무역보험공사(KUKE)와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MOU) 체결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사장 이강훈)는 폴란드의 무역보험공사(KUKE, 사장 야누시 브와디차크)와 6월 11일(화)(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우크라이나의 재건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본 협약식에는 이강훈 KIND 사장, 카타르지나 코발스카 KUKE 부사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KUKE는 폴란드의 수출신용기관(ECA)으로, 자국 내 법인 설립 여부 등에 따라 외국기업에 자국 기업과 동등한 전쟁보험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폴란드에 법인을 보유한 우리 기업은 동 보험을 활용하여 우크라이나 진출 시 투자금을 전쟁 리스크로부터 안전하게 보전할 수 있다.
본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KIND와 KUKE는 향후 우크라이나 및 제3국 진출을 위한 금융, 사업 등 핵심 정보를 공유하는 한편, 전쟁보험을 비롯하여 프로젝트 공동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이강훈 KIND 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폴란드를 거점으로 우크라이나 재건시장에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에 전쟁보험 상품을 소개하여, 종전 이후의 재건 특수를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24. 06. 11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베트남 하남성 인민위원회와
하남성 스마트 신도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MOU) 체결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사장 이강훈)는 하남성 인민위원회 위원장(쯔엉 꾸옥 후이)과 7월 15일(월) 베트남 하남성에서「베트남 하남성 스마트 도시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이강훈 KIND 사장, 하남성 인민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본 협약식을 계기로 KIND와 하남성 인민위원회는 ▲ 하남성 스마트 신도시 종합 계획 수립 ▲ 스마트시티 및 하이테크 산업단지 등 개발 ▲ 한국 투자자 유치를 위해 상호 협력할 방침이다.
하남성은 수도 하노이의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하노이ㆍ하이퐁과 함께 하노이-하이퐁-하남성 경제 삼각벨트를 이루고 있어 교통ㆍ물류의 요충지로 베트남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KIND는 하남성 스마트 신도시 사업 개발을 위해 재무적ㆍ기술적 지원을 적극 제공하고, 사업 진척 상황 및 결과를 하남성 인민위원회와 정기적으로 공유할 계획이다.
하남성 인민위원회 또한 하남성 스마트 신도시 개발을 위해 관련 부서를 신설하고, 정기회의 조직을 구성하는 등 하남성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앞서 KIND는 하남성 신도시 개발 사업의 타당성 조사(F/S)를 지원하고, 현대건설ㆍ베트남 비텍스코 (Bitexco)와 하남성 스마트 신도시 개발사업 협력 모색을 위한 3자 간 MOU를 체결한 바 있다.
이번 MOU는 민간과의 협력에서 나아가 정부 간 협력을 공고히 함으로써 실제 사업화에 더욱 가까워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강훈 KIND 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베트남에 한국형 스마트 시티 수출을 확대하여 우리 기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24. 07. 16
KIND, 아프리카 개발은행과 인프라 개발 위한 협력 기틀 마련
- KIND-AfDB LOI(Letter of Intent) 체결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이하 KIND, 사장 이강훈)는 6월 5일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아프리카 개발은행(AfDB)와 LOI(Letter of Intent)를 체결하고, 아프리카 지역 인프라 개발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관련 사업 정보를 공유하는 등 협력하기로 했다.
LOI 체결식은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토교통부가 주최하고 KIND를 비롯한 산하기관이 주관하여 개최된 한-아프리카 인프라 포럼의 개회식 행사 중 진행되었다.
LOI는 도시개발, 교통인프라, 수자원, 에너지 등 인프라 분야 전반에 걸쳐, 공동 타당성조사 및 실사 등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협력, 공동 투자 기회 탐색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날 체결식이 이루어진 한-아프리카 인프라 포럼에는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과 김형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등 국내 주요인사를 비롯해, 탄자니아 대통령, 가나 도로부 장관, 케냐 도로교통부 장관, 르완다 인프라부 장관, 우간다 노동교통부 장관 등 국외인사들이 참석하여 한-아프리카 간 인프라 개발 논의와 협력 기반 마련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한편, KIND는 ’19년에 케냐에 인프라협력센터를 개소하여 아프리카 사업개발의 거점으로써 현지 정부 및 민간기업과 활발한 교류를 이어왔으며, 도로 및 교량 등 다양한 인프라 사업들을 검토 중에 있다.
KIND 이강훈 사장은 “아프리카의 밝은 미래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인프라 개발은 핵심적인 요소”라며, “인프라 프로젝트의 개발과 투자에 KIND는 적극 협력하고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2024. 06. 05
뉴스레터 (총 39건)
더보기브로슈어 · 리플렛 (총 22건)
더보기홍보영상 (총 9건)
더보기'KIND 창립 5주년'을 맞아,
방글라데시 PPPA 청장으로부터 전달받은 축사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2025. 01. 20
'KIND 창립 5주년'을 맞아,
인도네시아 NUSANTARA 청장으로부터 전달받은 축사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2025. 01. 20
2023년 KIND 창립 5주년 기념 영상 국문본입니다.
감사합니다.
2025. 01. 20
카드뉴스 (총 4건)
더보기채용정보 (총 67건)
더보기KIND(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와 함께 해외 인프라 시장을 개척하고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할 인재를 모집합니다.
많은 관심과 지원 바라며, 상세 채용 공고 및 채용 지원은 아래 사이트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채용 사이트 바로가기 : http://kind.incruit.com/
- 서류전형 접수 (인터넷) : 11.19(월) ~ 11.30(금) 18:00
- 문의 : 상기 채용 사이트 및 이메일 insa@kindkorea.or.kr 활용
2018. 11. 19
KIND(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와 함께 해외 인프라 시장을 개척하고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할 인재를 모집합니다.
많은 관심과 지원 바라며, 상세 채용 공고 및 채용 지원은 아래 사이트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채용 사이트 바로가기 : http://kind.recruitcenter.kr/
- 서류전형 접수 (인터넷) : 8.7(수) ~ 8.13(화) 17:00
- 문의 : 상기 채용 사이트 및 이메일 insa@kindkorea.or.kr 활용
2019. 07. 30
저희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채용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금번 2019년 KIND 경력/신입 직원 채용 관련하여 서류전형 결과 발표를 아래와 같이 실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류전형발표 안내 (SMS 및 이메일) : 8.23(금) 17:30
- 발표결과 확인 : http://kind.recruitcenter.kr/
- 문의 : 상기 채용 사이트 및 이메일 insa@kindkorea.or.kr 활용
2019. 08. 23
지원공고 (총 3건)
더보기
국토교통부 공고 제2025-42호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제30조 등에 따라 해외 도시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기술 지원을 위해
G2G 협력 프로그램인 "K-City Network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의 2025년도 스마트 도시계획 및 스마트 솔루션 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 공모 내용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 제출기간 : 제안서를 작성하여 상시 제출
• 제출서류
1. 공모제안서(신청서 포함) 1부(부처의 장 서명 또는 날인)
2. 관계기관 간 협업 확약서 1부
3. 관련자료 제공 및 업무협조 동의서 1부
• 제출방법 : 전자문서(E-mail)로 제출(kcitynetwork@kindkorea.or.kr)
• 접수 및 문의처 : 투자정책지원실 도시컨설팅팀 (+82-2-6746-7410, 7509)
국토교통부장관
2025. 02. 10
우리 공사에서는 우리 기업의 해외인프라도시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리스크 서베이 지원* 대상사업을 다음과 같이 모집합니다.
* 리스크 서베이(Risk Survey, R/S) 지원 : 우리기업의 해외투자개발사업 진행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리스크에 대한 조사·검증 지원 제도로, ‘25년도 시범운영 추진
** 지원대상으로 선정 시, KIND가 용역사를 선정하여 용역성과물을 신청기업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 예정
관심기업에서는 붙임의 공고문을 참조하시어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신청자격 : 해외건설촉진법령상에 따른 해외건설사업자
2. 신청대상사업 : 해외건설사업자가 투자, 건설, 운영관리에 참여하는 해외인프라‧도시개발사업(「해외건설촉진법」제2조)으로서 사업권이 확보되어 진행 중인 투자사업
3. 지원규모 : 사업규모 및 지원요청 내역 등을 고려하여 사업별 지원금액 추후 확정(대상사업별 지원규모는 3억원 이내)
4. 모집기간 : 수시공모(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및 별도 공지)
5. 심사 및 선정 : 매월 말일까지의 접수분을 익월 중순 경 선정위원회에서 심의(일정 확정시 개별 통보)
6. 접수 및 문의처 : 리스크관리실 (전화 : 02-6746-7399 / 7481)
2025. 02. 28
[2025년 국토교통 국제감축사업 발굴 투자지원(설비설치 지원) 대상사업 모집 공고]
정부의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한 『2025년 국토교통 국제감축사업 발굴』 투자지원(설비설치 지원) 대상 사업을 공모하오니, 본 사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기관은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 지원대상 : 국내기업이 수행하는 국토교통분야(건물, 교통, 건설 등)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으로서 NDC 달성에 활용할 수 있는 국제감축실적을 확보할 수 있는 사업
○ 지원분야 : 국토교통분야 국제감축실적이 발생할 수 있는 사업의 감축설비 설치 지원
○ 모집기간 : 2025. 5. 2.(금) ~ 2025. 6. 5.(목) 18:00(KST) 까지
○ 지원범위
○ 신청방법 : 우편 및 방문 접수
○ 문의사항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타당성조사팀(02-6746-7378)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의 공고문 및 운영지침 등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 05. 02
입찰정보 (총 451건)
더보기다음과 같이 용역입찰을 긴급공고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용역명 : 모잠비크 마푸토 가스복합발전 개발사업 타당성조사
2. 입찰 공고번호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입찰공고 제2019-1호 (KIND-BID-2019-1)
3. 공고일시 : 2019. 03. 06(수)
4. 입찰 및 계약방법 : 일반경쟁, 총액입찰, 협상에 의한 계약
5. 입찰참가자격등록 : 2019. 03. 20(수) 16시 까지
6. 제안서제출 : 2019. 03. 21(목) 16시까지
7. 기타문의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사업총괄실(02-6746-7367, 7370)
2019. 03. 06
다음과 같이 용역입찰을 긴급공고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용역명 : 인도네시아 메단시 Urban Transportation PPP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2. 입찰 공고번호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입찰공고 제2019-2호 (KIND-BID-2019-2)
3. 공고일시 : 2019. 03. 06(수)
4. 입찰 및 계약방법 : 일반경쟁, 총액입찰, 협상에 의한 계약
5. 입찰참가자격등록 : 2019. 03. 20(수) 16시까지
6. 제안서제출 : 2019. 03. 21(목) 16시까지
7. 기타문의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사업총괄실(02-6746-7367, 7370)
2019. 03. 06
다음과 같이 용역입찰을 긴급공고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용역명 : 베트남 하노이 농수산물 복합도매시장 개발사업 타당성조사
2. 입찰 공고번호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입찰공고 제2019-3호 (KIND-BID-2019-3)
3. 공고일시 : 2019. 03. 06(수)
4. 입찰 및 계약방법 : 일반경쟁, 총액입찰, 협상에 의한 계약
5. 입찰참가자격등록 : 2019. 03. 20(수) 16시까지
6. 제안서제출 : 2019. 03. 21(목) 16시까지
7. 기타문의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사업총괄실(02-6746-7367, 7370)
2019. 03. 06
자료실 (총 1건)
더보기사전정보공표 (총 4건)
더보기사업실명제 (총 140건)
더보기국가별 PPP 진출가이드 (총 11건)
더보기11개국 PPP 진출 유망국 가이드북 중 베트남 자료를 붙임과 같이 게시하오니, 관계자들께서는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가 리스트 : 동남·서남아시아 4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중앙아시아 2개국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유럽 1개국 (튀르키예), 남미 2개국 (파라과이, 칠레), 아프리카 1개국 (케냐), 중동 1개국(사우디아라비아) 등
-책자 문의 : 투자정책지원실 도시컨설팅팀 엄석영연구원 (02-6746-7419, sy.eom@kindkorea.or.kr)
2025. 01. 16
11개국 PPP 진출 유망국 가이드북 중 인도네시아 자료를 붙임과 같이 게시하오니, 관계자들께서는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가 리스트 : 동남·서남아시아 4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중앙아시아 2개국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유럽 1개국 (튀르키예), 남미 2개국 (파라과이, 칠레), 아프리카 1개국 (케냐), 중동 1개국(사우디아라비아) 등
-책자 문의 : 투자정책지원실 도시컨설팅팀 엄석영연구원 (02-6746-7419, sy.eom@kindkorea.or.kr)
2025. 01. 16
11개국 PPP 진출 유망국 가이드북 중 필리핀 자료를 붙임과 같이 게시하오니, 관계자들께서는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가 리스트 : 동남·서남아시아 4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중앙아시아 2개국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유럽 1개국 (튀르키예), 남미 2개국 (파라과이, 칠레), 아프리카 1개국 (케냐), 중동 1개국(사우디아라비아) 등
-책자 문의 : 투자정책지원실 도시컨설팅팀 엄석영연구원 (02-6746-7419, sy.eom@kindkorea.or.kr)
2025. 01. 16
PPP 동향 및 진출전략 (총 65건)
더보기글로벌 PPP 사업동향 1월 자료입니다.
1. PPP 시장동향
2. PPP 사업정보
3. 지역별 주요뉴스
4. 마켓 집중탐구 (2022년 4분기 PPP 시장 분석, 넷제로로 가는 길 원자력의 역할)
5. PPP 사례 분석
2023. 04. 18
글로벌 PPP 사업동향 2월 자료입니다.
1. 글로벌 PF 현황
2. PPP 사업정보
3. 지역별 주요뉴스
4. 마켓 집중탐구 (일본 해외 인프라 정책 및 JOIN 기관 현황 )
5. PPP 사례 분석
2023. 04. 18
글로벌 PPP 사업동향 3월 자료입니다.
1. 2022년 유럽 PPP 시장 동향
2. PPP 사업정보
3. 지역별 주요뉴스
4. 마켓 집중탐구 (우크라이나 전쟁 영향 평가 결과)
5. PPP 사례 분석
2023. 04. 18
안전경영 (총 4건)
더보기KIND News (총 116건)
더보기지난 6월 27일,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KIND의 설립 기념행사가 있었습니다.
국토교통부 장관님을 비롯한 많은 귀빈 여러분께서 이 자리에 참석해 주셨습니다.
개소식 후에는 "해외 PPP 시장의 현주소와 국내기업의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세미나가 진행되었습니다.
KIND’s foundation ceremony was held in Conrad Hotel in Seoul on the 27th June, 2018.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other distinguished guests attended the ceremony.
It was followed by a seminar on “Global PPP market trend and Korean companies’ strategies against the trend”.
2018. 07. 12
지난 6월 29일 KIND와 CAF (Corporación Andina de Fomento, 중남미 개발은행) 간 양해각서(MOU) 체결식이 있었습니다.
이날 행사는 허경구 KIND 사장과 루이스 까란사 우가르떼 CAF 총재가 서명하였으며, 김현미 국토부장관, 외교부 중남미 국장, 국토부 건설정책국장이 참석하였습니다.
양사는 MOU를 통해 KIND와 CAF 간 정보 교류 및 인프라 사업 기회 공동 발굴 등의 협력을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A signing ceremony for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between KIND and CAF (Corporación Andina de Fomento) was held on the 29th of June, 2018
.
The MOU was signed by KIND president & CEO, Dr. Kyong-goo Hur and the executive president & CEO of CAF, Dr. Luis Carranza Ugarte. The ceremony attendees includ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eputy director-general of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Affairs Bureau, MOFA* and deputy director-general of Construction Policy Bureau, MOLIT**.
Both companies agreed to share infrastructure related information and cooperate for identification of infrastructure project development opportunities, moving forward.
* MOFA : Ministry of Foreign Affairs
** MOLIT :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07. 12
지난 7월 12일 KIND 사장 이하 임직원들이 모두 참석하여 "열린 조직문화 창조를 위한 KIND 직원 워크샵"을 행사를 가졌습니다.
워크샵은 사장님 인사말, 명사 동영상 시청 (Start with Why), 쿠퍼실리테이그룹 구기욱 대표님의 강의, 각 실별 다짐 등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새롭게 출범하는 조직으로서 향후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 어떤 조직문화를 만들어 나갈지 함께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KIND had an internal workshop for making an open work culture within the company.
The workshop program consisted of listening to CEO's messages, watching a TED video clip “Start with Why”, a lecture given by Mr. Koo from Koo Facilitation Group and sharing each department's resolutions.
It was a meaningful opportunity for every employee to think about how KIND's own right work culture should be sculpted as it would help achieve high performance results.
2018. 07. 12
Brochure · Leaflet (총 11건)
더보기Newsletter (총 25건)
더보기베트남 (총 63건)
더보기방글라데시 (총 169건)
더보기인도네시아 (총 103건)
더보기인도네시아 9월 2주차 주간 건설·인프라 동향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로 확인 부탁드립니다.
2023. 09. 18
인도네시아 9월 3주차 주간 건설·인프라 동향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로 확인 부탁드립니다.
2023. 09. 25
□ 사업개요
ㅇ 사 업 명 : Gedebage Ciamis Toll Road
ㅇ 사업개요 : Gedebage-Tasikmalaya-Cilacap Toll Road의 일부로 West Java의 Bandung City, Tasikmalaya City, Bandung Region, Garut Region, Tasikmalaya Region and Ciamis Region을 연결
ㅇ 투자금액 : 37.64조 Rp (약 24억 USD)
ㅇ 건설비용 : 29.65조 Rp (약 19억 USD)
ㅇ 지급방법 : User Based Payment (UBP)
ㅇ 향후일정
- 2023 Q4 ~ 2024 Q1 입찰
- 2024~2025 1단계 건설
- 2026 1단계 운영
- 2028~2029 2단계 건설
- 2030 2단계 운영
ㅇ 양허기간 : 50년
ㅇ 담당부처 : PUPR(Minister of Public Works and Housing)
ㅇ 수행기관 : BPJT(Indonesia Road Authority)
ㅇ 담당자 연락처 :
Fina, Ministry of PUPR
Head of the Sub directorate of Cooperation and Investment Division
Tel:081277258187
2023. 09. 26
케냐 (총 64건)
더보기사우디아라비아 (총 51건)
더보기폴란드 (총 20건)
더보기폴란드 사무소(우크라이나 재건 협력센터) 4월 3~4주 주요 프로젝트 동향 보고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로 확인 부탁드립니다.
2024. 04. 18
폴란드 사무소(우크라이나 재건 협력센터) 5월 주요 프로젝트 동향 보고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로 확인 부탁드립니다.
2024. 05. 29
폴란드 사무소(우크라이나 재건 협력센터) 6월 1~2차 주요 프로젝트 동향 보고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로 확인 부탁드립니다.
2024. 06. 10